-
- 김종갑
-
- 전공: 문학비평과 이론_ 영문학 박사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 직위: 건국대에서 영문과 교수로 재직중 (1995~ )
- 한국수사학회와 19세기영어권문학회의 회장을 역임
- 2007년 몸문화 연구소 설립이래 소장(2007.08~현재)
- 저서: 『혐오: 감정의 정치학』, 『생각: 의식의 소음』, 『성과 인간에 관한 책』, 『근대적 몸과 탈근대적 증상들』 등
- 번역서: 『말, 살, 흙』
-
- 박삼헌
-
- 전공: 근대일본사 박사(고베대학),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
- 직위: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및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소장.
- 저서: 『천황 그리고 국민과 신민사이-근대 일본 형성기의 심상지리』,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체제-지방관회의.태정관.천황』(2013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1, 2(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등
- 번역서: 『천황의 초상』,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 제3권 유럽대륙(상)』(201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
-
- 서윤호
-
- 전공: 법학 / 법철학
- 직위: 부소장 / 몸문화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저서: 『사물의 본성과 법사유』, 『다문화사회와 이주법제』 등
- 논문: 「현대 법철학에서 법개념의 문제」,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 「이주사회에서의 정치적 성원권」, 「입법이론에서의 체계정당성」 등
-
- 임지연
-
- 전공: 국문학 박사(현대시, 건국대학교)
- 직위: 몸문화연구소 KU 연구전임교수
- 저서: 『사랑, 삶의 재발명』, 『공동체 트러블』
- 논문: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 「60년대 세계문학론의 코드화과정」
-
- 윤지영
-
- 전공: 페미니즘 철학과 프랑스 현대철학
- 직위: 창원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 저서: 『헬페미니스트 선언』 등
- 논문: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
- 서길완
-
- 전공: 영문학박사(영미문학비평, 건국대학교)
- 직위: 몸문화연구소 KU연구전임교수
- 저서: 『기억, 기억과 망각의 이중주』, 『내 친구를 찾습니다』 등
- 논문: 「도래하는 과거를 수용하는 트라우마의 능동적인 방편」 등
-
- 이지용
-
- 전공전공: 문예이론(문학박사)
- 직위 : 몸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저서 : 『한국 SF 장르의 형성』, 『비주류 선언』,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인공지능이 사회를 만나면』 『문학과 미디어의 이해』 등
- 논문 : 「한국 대체역사소설의 서사 양상 연구」, 「한국 SF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반도 SF의 유입과 장르 발전 양상」 등
-
- 최은주
-
- 전공: 영미문학비평(영미비평, 건국대학교)
- 직위: 몸문화연구소 연구원
- 저서: 『죽음, 지속의 사라짐』, 『질병, 영원한 추상성』, 『책들의 그림자』, 『런던 유령』 등
- 논문: 「국가적 수치 인정의 정치적 효과와 사과 발언에서 수행성의 문제」,「경계 횡단의 언어와 환대 (불)가능한 장소」,「정치적으로 전유되는 이주.국경에 대한 고찰」, 「강제 이동 인구의 증가에 따른 잠재 공간에 대한 사유」 등
-
- 윤소영
-
- 전공: 영미드라마(영문학 박사, 건국대)ㆍ번역학
- 직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양대학 조교수
- 저서: 『내 몸을 찾습니다』 , 『내 친구를 찾습니다』, 『영화로 보는 미국 역사』, 『감정, 있습니까?』
- 논문: 「노자에 비춰진 트랜스휴머니즘: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시리즈를 중심으로」, 「Equus에 구현된 공간과 관계의 역학」 등
-
- 정지혜
-
- 전공: 신경생리학
- 직위: 건국대 생명과학 특성학과 부교수
-
- 박수지
-
- 전공: 매스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 박사, 코네티컷 주립대학)
- 직위: 몸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 논문: [Do You Enjoy TV, while Tweeting? Effects of Multitasking on Viewers’ Transportation, Emotions and Enjoyment]
-
- 최하영
-
- 전공: 미국현대소설 (영문학 박사, 미국 신씨내티 대학)
- 직위: 건국대 융합인재학부 교육전임
- 저서: 『감정 있습니까?』, 『권태』 『내 몸을 찿습니다』 등
-
- 주기화
-
- 전공: 영문학박사(영미비평, 건국대)
- 직위: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저서: 『몸, 소통, 치유』,『영화로 보는 미국역사,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 등
- 논문: 「호모 몬스터쿠스: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그녀]에 나타난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 「생성철학 관점에서 본 《지킬 박사와 하이드》」, 「영화 에 나타난 탈인종주의를 넘어서기」, 「개체초월적 포스트휴먼: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
-
- 임소연
-
- 전공: 과학기술학,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서울대학교)
- 직위: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 저서: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과학기술의 시대 사이보그로 살아가기』 등
- 논문: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페미니스트 과학, 젠더혁신, 페미니스트 과학학」,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 안-사이에서 “몸과 함께”」 등
-
- 최정선
-
- 전공: 영문학박사(미국 Texas A&M 대학)
- 직위: 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
-
- 황은주 은주 배리쉬
-
- 전공: 영미문학비평(문학박사, 영국 에섹스 대학교)
- 직위: 코벤트리 비즈니스 스쿨 전략리더십과 조교수
-
- 장근호
-
- 전공: 의학박사(서울의대 대학원 졸업)
- 직위: 미래이비인후과의원 원장
- 논문: 「개항에서 일제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까지 이비인후과학의 도입과 전개 과정」
-
- 박신현
-
- 전공: 근대영문학(영문학 박사, 고려대학교)
- 직위: 몸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저서: 『공유: 관계적 존재의 사랑 방식』, 『생태, 몸, 예술』(공저)
- 번역서: 『강철혁명』, 『아시아 미래 대예측』,「성체의 사륜마차」,『미래기업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 『롱테일 법칙』 등
- 논문: 「회절과 얽힘의 텔레커뮤니케이션: 버지니아 울프의 『막간』」, 「환경오염과 가부장제의 중층적 느린 폭력: 돈 드릴로의 『백색 소음』과 소피 매킨토시의 『물 치료』」, 「행위론적 실재론으로 본 울프의 포스트휴머니즘 미학: 『파도』와 『올랜도』」, 「Eros and Beauty Already Involving the Sublime」 등
-
- 박언영
-
- 전공: 문학의 영화와 영화 전공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
- 직위: 서울과기대 기초교육학부 강사
- 저서: 『기생충』, 『신과 함께』
- 논문: [경계에 대한 재고찰: 프로이트의 《언캐니》 다시 읽기]
명예회원
-
- 스테이시 앨러이모 Stacy Alaimo
- 미국 텍사스 알링턴대학 영문학과 교수로, 영문학과 인문학을 넘어 페미니즘, 환경운동, 환경정의, 과학연구와 같은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고 있다. 『길들여지지 않는 땅』(Undomesticated Ground, 2000), 『말, 살, 흙』(Bodily Natures, 2010)를 출간했으며, 수전 헤크먼과 『유물론적 페미니즘들』(Material Feminisms, 2008)을 공동 편집했다. 『말, 살, 흙』은 2011년 미국 문학과 환경학회(ASLE)에서 생태비평상을 받았다. 몸문화연구소의 번역 출간으로 아시아에서 최초로 번역을 인연으로 몸문화연구소의 명예회원이 되었다.
-
- 사이먼 에스톡 Simon C. Estok
-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 캠퍼스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저서 Ecocriticism and Shakespeare: Reading Ecophobia(2011), The Ecophobia Hypothesis(2018)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