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909534

『몸』

작성자
kkbody
조회수
123
등록일
2021.08.09
수정일
2024.02.13

몸문화연구소 번역총서 4권 출간 알림

교육부 지원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에서는 해외 몸이론 관련 도서들을 번역하여, 번역총서 시리즈를 출간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리즈는 2019년 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우수성과로 선정된 스테이시 앨러이모의 『말 살 흙』를 시작으로, 엘자 도를랑의 『자신의 방어하기』, 낸시 암스트롱의 『소설의 정치사』를 출간하였고, 이번에 샹탈 자케의 《Le Corps》를 번역한 『몸』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세계적인 몸 관련 이론들을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하는 몸문화연구소 번역총서 시리즈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책소개
그린비 몸문화연구소 번역총서 네 번째 책. 우리의 삶은 몸에서 시작하여 몸으로 끝난다. 그런데 몸에 대한 철학서는 왜 이렇게 찾아보기 힘든 것일까? 샹탈 자케의 『몸』은 서양철학사 안에서의 ‘몸’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있으며, 몸의 테크니컬하고 예술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윤리적이고 성적인 역량에 대해 포괄적으로 다룬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몸에서부터 현대의 정치적 이슈가 되고 있는 성차로서의 몸에 이르기까지, 몸에 대한 사유의 역사적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몸은 우리의 정신이자 삶, 세계이다. 철학적 사유를 시작하기 전에 나와 몸에 대해 묻는 법부터 배워야 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저자 및 역자
지은이: 샹탈 자케 (Chantal Jaquet) 

파리 1대학 판테온-소르본 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이곳에서 현대철학사센터를 이끌고 있다. 스피노자 및 몸 철학 전문가로 알려진 자케는 스피노자를 기반으로 몸의 기술적, 예술적 역량을 구체화하는 철학적 사유를 펼치고 있다. 『욕망』(Le Désir, 1991), 『영원의 측면에서』(Sub specie æternitatis, étude des concepts de temps durée et éternité chez Spinoza, 1997), 『스피노자 또는 신중함』(Spinoza ou la Prudence, 1997), 『베이컨과 지식의 향상』(Bacon et la promotion des savoirs, 2010), 『스피노자의 업적: 몸의 구성과 관념의 힘』(Spinoza à l’œuvre, composition des corps et force des idées, 2017) 등을 썼다.

옮긴이: 정지은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프랑스 부르고뉴대학교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연구 주제는 ‘메를로-퐁티의 표현과 존재’이다. 여러 대학과 사단법인 철학아카데미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에서 교양과 조교수로 있다. 『동물들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유한성 이후』, 『철학자 오이디푸스』를 번역했고, 『기억과 몸』, 『헬조선에는 정신분석』, 『폭력의 얼굴들』, 『감정 있습니까?』에 필자로 참여했다.


옮긴이: 김종갑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7년 설립된 몸문화연구소 소장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외모 강박》, 《타자로서의 몸, 몸의 공동체》, 《문학과 문화 읽기》, 《근대적 몸과 탈근대적 증상》 《내 몸을 찾습니다》(공저) 《생각, 의식의 소음》 《우리는 가족일까》(공저) 《성과 인간에 관한 책》 등이 있다.

목차
서론・11

1부_몸들(물체들)에서 인간의 몸으로

1장_몸 또는 몸들?・45

1. 몸의 본질・45
1) 개념 연장의 영역 문제(스토아학파의 관점)・48
2) 데카르트에게서 몸(물체)에서 연장으로의 문제적 환원・58
3) 몸, 더미, 집합체, 합금・81
4) 무형적인 것(informe)에서 형태(forme)로 : 세자르의 경우・87

2. 비물질적인 몸들(물체들)의 문제・92
1)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의 영적인 몸・95
2) 정치적 몸의 관념・110

2장_살아 있는 몸・131

1) 물활론적 패러다임 : 아리스토텔레스의 살아 있는 것에 대한 개념화・138
2) 기계 몸 :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이론・154
3) 기계와 유기적 존재 사이의 칸트의 구분・169
4) 살아 있는 몸의 인과성・181

3장_인간의 몸 : 몸과 정신・197

1) 이원론적 관점 : 데카르트의 영혼과 몸의 결합의 문제・208
2) 라이프니츠의 예정 조화에 의한 해결・225
3) 영혼과 몸의 결합 : 거짓 질문?・237
4) 라메트리의 유물론적 일원론・242
5) 몸과 정신의 관계들에 대한 스피노자의 모델・257

2부_인간의 몸의 역량

4장_인간의 몸의 실천적 역량・293

1. 몸의 기술적 역량・293
1) 일하고 있는 몸 : 몸 테크닉 ・294
2) 노동하는 몸・312

2. 몸의 예술적 역량・326
1) 몸의 미학적 역량 : 예술작품으로서의 몸・327
2) 몸의 예술적 역량 : 활동하고 있는 몸・342

3. 몸의 윤리적 역량・401
1) 몸의 도덕적 양면성・401
2) 공공 도덕의 몸 원칙・408
3) 진정한 윤리학의 몸 원리・421

5장_성차에 의한 몸・430

1. 성적 욕망・430
1) 섹슈얼리티, 타인에 대한 존재 방식? ・432
2) 욕망의 역량・450

2. 성차의 문제・456
1) 성구분에 대한 비판・460
2) 성의 차이에 대한 사유 가능성의 조건들・468
3) 성별들의 차이의 본성과 그 영향력・488

결론・507
참고문헌・515
옮긴이 후기・563
찾아보기・568


 
이전글
『자신을 방어하기 - 소수자들, 빼앗긴 폭력을 되찾다』
다음글
『바디멀티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