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에 늘 붙어있는 ‘권태’란 무엇인가!
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 한국 인문학의 새 지형도「하이브리드 총서」제 12권『권태: 지루함의 아나토미』. 우리 삶에 언제든 어떤 형태로든 존재하는 ‘권태’에 대하여 사회문화학적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해부한 책이다. 권태라는 것의 본질은 무엇이고 어떤 형태로 우리 삶에 자리하는 것인지, 인간의 본능인 권태로움에 대해 철학, 문학, 여성학, 역사, 대중문화 등 아홉가지 관점으로 살펴본다.
이성민, 이종주, 김종갑, 김운하, 송치만 등 몸문화연구소의 다양한 연구자들이 참여하였다. 권태를 청춘의 특징을 말하는가 하면, 과잉 자극의 사회가 된 현대의 모습과 과도기적 근대 사회의 모습을 비교하며 권태를 이야기한다. 또한 철학적, 사회적 관점과는 다르게 동서양의 고전 작품을 통해 권태를 논하는 등 저자들 각자의 개성대로 ‘권태로움’을 풀어냈다.
서문 9
권태와 청춘 | 이성민 17
지루함의 철학 - 데카르트, 스피노자의 자연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접근 | 이종주 35
- 지루함에 대한 주정주의적 접근
- 지루해짐
- 지루해함
- 그냥 아무튼 지루함
근대의 증상으로서 지루함 | 김종갑 59
우리는 왜 지루함을 참지 못하는가 - 재미중독 사회와 권태의 재발견 | 김운하 77
사대부의 권태, 그 문명 비판적 의미
-이규보의 「용풍」, 성간의 「용부전」, 성현의 「조용」을 대상으로 | 황혜진 97
‘취집’의 선배가 후배들에게 - 19세기 여성의 권태 | 최하영 119
권태와 폭력성에 관한 연구 | 황은주 133
권태로운 대중문화 | 송치만 149
권태 죽이기와 죽도록 즐기기 | 손석춘 163